이재정 “국립중앙과학관, 미래부 회전문 인사 여전”

예산 잔액 직원 포상금으로 유용

방송/통신입력 :2016/07/11 16:07    수정: 2016/07/11 16:59

국립중앙과학관의 관장직위가 미래창조과학부 고위공무원들의 돌려막기 인사와 승진의 통로로 전락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국회의원은 미래부가 제출한 '국립중앙과학관 대덕 이전 개관 후 역대 관장 현황' 자료를 분석, 국립중앙과학관의 부당한 인사 관행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 의원은 "과학기술과 국민을 연결하는 핵심역할 수행기관인 국립중앙과학관의 관장직위가 미래부 고위공무원들의 돌려막기 인사와 승진의 통로로 전락했다"며 "관장 직위가 개방형 직위로 전환된 뒤에도 미래부의 인사 관행은 여전했고, 예산 잔액을 직원 포상금으로 유용하는 행위를 반복하는 등 관리감독에 구멍이 뚫렸다"고 비판했다.

1990년 국립중앙과학관 대덕 이전 개관 이후 현재까지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총 14인으로, 이들 모두가 공직자 출신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사진=이재정 의원 블로그)

또 초대 김필규 전 관장을 제외한 모든 인사는 관장직 수행 이후 원 소속 부처로 승진이동하거나 유관기관의 기관장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2년의 임기를 모두 채운 인사는 4인에 불과했다.

특히 최종배, 김주한 전 관장은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직의 개방형직위 전환 이후 임명된 인사로, 모두 미래부(전 교육과학기술부) 출신이다.

특히 2013년부터 현재까지 관장직을 역임한 3인의 인사 모두 2년의 임기를 채우지 않고 중도에 미래부 고위직으로 인사이동 했다. 이에 이재정 의원은 “효율적 관리와 경영을 위해 도입한 개방형직위의 본 취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결과”라고 꼬집어 말했다.

한편 직원들까지 본 업무보다 예산전횡을 일삼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의 2015년도 결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립중앙과학관은 연례적으로 성과상여금을 위해 편성된 보수 항목의 예산 잔액을 포상금으로 지급하는 등 규정위반을 반복해 온 것이 확인됐다.

관련기사

이를 통해 소속 공무원은 물론 민간인에게도 포상금이 지급됐으며, 지난 3년간 지급된 포상금 규모만 2천810만원에 달했다.

이재정 의원은 "정부는 올해를 과학기술 50주년이라며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과학기술과 국민 간 소통의 창구인 국립중앙과학관의 관장 직위는 미래부의 돌려막기 인사 창구로 전락시키고 관리감독마저 손을 놓았다"며 "현재 공석인 관장직의 개방형직위 공모 과정이 또다시 미래부의 회전문 지키기로 졸속 운영 돼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