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BI, 구글에도 '스마트폰 암호해독' 압박했다

ACLU, 자료 공개…애플 90% vs 구글 10%

컴퓨팅입력 :2016/03/31 13:46    수정: 2016/03/31 14:37

“애플 뿐만이 아니었다.”

미국 법무부가 애플 뿐 아니라 구글에게도 여러 차례 스마트폰 암호 해제 요구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씨넷이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같은 사실은 미국 시민자유연맹(ACLU)이 공개한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 ACLU는 이날 미국 정부가 애플과 구글에 모바일 기기의 암호를 해제하도록 명령한 자료를 인터렉티브 지도 형식(▶자세히 보기)으로 공개했다.

ACLU는 미 연방정부가 스마트폰 암호해제를 요청한 자료를 토대로 인포그래픽을 만들었다.

ACLU은 미국 법무부가 1789년 제정된 `모든 영장법`에 근거해 법원에 애플과 구글이 스마트폰 정보 조사에 협조명령을 내려달라고 최소 63회나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요청 중 90%는 애플 아이폰이었고 나머지 10%는 구글에 요청한 것이었다고 ACLU는 말했다.

관련기사

구글은 이날 “우리는 정부의 소환장과 법원명령이 관련 법의 문구와 정신을 모두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며 “하지만 우리는 애플의 경우처럼 스마트폰 암호 해제 도구를 새로 만들라는 요구하는 요청은 받은 적은 없다. 우리는 그런 요구에 대해서 강하게 반대한다“ 고 덧붙였다. 지난해 구글은 마약사건 조사를 위해 알카텔, 교세라 휴대폰을 여는 것을 도와달라는 영장을 발부 받은 적도 있다.

ACLU은 미 정부가 2008년 후부터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227년이나 된 영장 법을 적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