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시대…IPv6 전환 서둘러야 하는 이유

인터넷 주소자원 고갈 '임박'...무한대 주소 체계 준비해야

방송/통신입력 :2015/12/31 07:00    수정: 2015/12/31 08:26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주요국가에서 지난 1981년 개발된 IPv4 인터넷 주소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IPv4는 2의 32제곱, 즉 43억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적지 않은 수로 보이지만, 인터넷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이미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새로운 인터넷 주소체계가 IPv6다. IPv6는 1998년 개발한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로 기존 32비트에서 128비트로 늘린 방식이다. IPv6에서 생성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가 43억개인데 반해 43억에 43억을 네 번이나 곱해야 한다. 사실상 무한대라는 뜻이다.

답보상태에 있던 IPv6 전환작업은 내년 1월, KT LTE망을 통해 접속하는 네이버에 IPv6가 적용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을 전망이다. LG유플러스도 준비중이다. 앞서 SK텔레콤은 카카오(당시 다음커뮤니케이션)와 IPv6 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다.

정부는 IPv6 전환을 통해 인터넷 주소 고갈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에서 쓸 수 있는 1억1천만개 중에 현재 남아있는 인터넷 주소는 800만에 불과한 실정이다.

IPv6로 전환하지 않으면 인터넷 기반 신규 서비스는 물론, 새로운 홈페이지 호스팅 마저 불가능한 상황에 이른 것이다.

■ IPv6, 무한대 주소자원 제공

IPv6의 장점으로는 단연 IP 주소가 대폭 증가한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등 신규 모바일 서비스에 일일이 IP 주소를 부여하고, 향후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모든 사물인터넷 기기에도 인터넷 연결주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Pv6 전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IPv4가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반면에 IPv6는 이용자 개입 없이 자동으로 IP 주소를 설정한다.

IPv6는 단말기와 단말기간에 1대1 통신을 지원한다. 단말기간 통신은 5G 이동통신의 전제조건처럼 따라붙는 기술이다. IPv4 환경에서는 사설 IP를 활용해 단말간 1대1 통신이 불가능하지만 IPv6는 사설 IP를 쓰지 않기 때문에 단말간 통신이 가능하다.

인터넷 세상에서 필수조건인 보안 기능도 강화된다. IPv4는 보안 기능(IPSec)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지만, IPv6는 확장기능에서 기본으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 IPv6 지연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

IPv6 전환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실제 이를 상용화하는 작업은 상당기간 지체됐다. 특히 네트워크, 서비스, 단말 등에서 IPv6가 서로 유기적으로 지원되지 못하면서 결실을 맺기 못했다.

장비 교체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투자비 부담도 크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민간 영역의 IPv6 전환비용을 2조1천억원 가량으로 추정키도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나 기업들이 IPv6 전환을 계속 방치할 경우, 인터넷 주소 고갈 뿐만 아니라 품질 저하, 국내 장비시장을 외국업체들에 내 줄 수 있다고 우려한다.

당장, 호스팅 업체는 인터넷 주소자원 고갈로 신규 고객을 유치하지 못한다. 사설 IP를 쓰게 되면서 네트워크 관리가 복잡해지고 더불어 품질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국내 보다 IPv6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해외 업체들에 내수시장을 내줘야 한다.

■ IPv6 확산, 본격적인 IoT 세상 개막

당장 IPv6로 모두 전환되는 것은 아니지만, 국내에서 트래픽 유입이 가장 많은 네이버가 IPv6를 지원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아울러 삼성전자가 IPv6를 지원하는 갤럭시A5, 갤럭시A7 출시 계획을 가진 만큼 확산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IPv6 전환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인 IoT 산업도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IoT 단말기에 할당해 줄 IPv4 주소는 고갈된 상태고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꾸는 NAT 기술도 IoT에서는 제약이 있다”며 “단말기의 폭발적인 증가를 위해 IPv6 전환은 필수적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