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구겨지거나 접어도 원래 형태로 회복이 되고, 효율이 높은 새로운 구조의 플렉서블 태양전지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고민재 박사팀과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김대은 교수팀은 태양전지를 접고 구기더라도 원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플렉서블 반도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형상 기억 고분자 기판위에 기존의 잘 깨지는 투명전도성 전극(ITO, Indium Tin Oxide)과 금속 후면전극 대신에 고분자 투명전극(PEDOT:PSS)과 액체 금속을 사용해 이 기술을 구현했다. ITO는 주석 산화물 (tin oxide)에 인듐이 도핑 된 금속 산화물로서 투명하면서도 금속의 전기 전도도에 준하는 높은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 되는 소재다. 또한 PEDOT:PSS는 ITO를 대체할 수 있는 투명 전극 소재로 꼽히며 ITO보다 낮은 가격과 용액공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향후 실리콘 태양전지와 경쟁을 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 시작 3년 만에 최고 효율 20.1 %까지 기록했고, 용액 및 저온 공정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특히 플렉서블 태양전지로 사용되기에 최적화 된 물질이다.
플렉서블 태양전지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150도 이하의 저온 공정을 필요로 하는데, 유기 반도체를 페로브스카이트와 전극 사이에 중간층으로 사용하는 태양전지 구조에서는 모든 공정이 150도 이하에서도 제작할 수 있어 플렉서블 태양전지에 최적화돼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과 플렉서블 소자의 전력 공급체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플라스틱 기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투명전극 기판이 필요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많이 구부리거나 접으면 소성 변형이 쉽게 일어나서 원래 형태로 회복이 되지 않고 투명전도성 전극 역시 잘 깨지기 때문에 웨어러블과 플렉서블 소자에 적용하기엔 적합하지 않은 기판이다.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 대신 형상 기억 고분자(NOA 63)를 평평한 기판으로 만들어서 120도 이하의 저온 공정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성했다. 태양전지를 접기 전 광전변환 효율이 최고 10.83 %, 접고 난 후 10.4 %였으며 1천번 벤딩 테스트 후에도 9.68 %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효율과 기계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완전히 구겨지더라도 기판의 형상 기억 특성 때문에 최초의 형태와 거의 유사한 모양으로 회복 됐으며 원래 형태로 복구 된 후에는 6.1% 효율을 기록했다.
그리고 수 마이크로 미터의 크기를 갖는 미세한 침이 재료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한 힘으로 누르면서 재료가 침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를 파악해 다양한 기계적 특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인 나노 인덴테이션 분석법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태양전지에 사용 된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심도 분석하고 수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태양전지를 접더라도 모든 재료에 손상 없음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따라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은 매우 유연하면서도 높은 광전효율을 낼 수 있는 광 흡수 물질이며 이는 앞으로 플렉서블 태양전지 분야에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가 된다.
관련기사
- 미래부-산업부, 웨어러블에 5년간 1천300억 투자2015.12.01
- 손오공 머리띠 닮은 웨어러블 카메라2015.12.01
- KAIST, ‘2015 웨어러블 컴퓨터 경진대회’ 개최2015.12.01
- 웨어러블 강자 조본-핏빗의 '핏빛 전투'2015.12.01
연구책임자인 고민재 박사는 “개발한 태양전지는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고 용액과 저온공정을 할 수 있으며 효율이 높아 웨어러블 태양전지, 휴대 전자 소자 등 다양한 전자 기기의 핵심적인 광에너지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KIST 주요연구사업인 영 펠로우 연구사업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연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의 전문학술지인 Advanced Energy Materials 11월18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