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5년 간 약 350억원을 투입해 시스템반도체의 핵심 요소로 향후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 기기 시장 성장과 함께 폭발적인 수요가 예상되는 ‘모바일 CPU 코어’ 국산화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경기도 판교 한국반도체협회에서 ‘한국형 모바일 CPU 코어 상용화 추진계획 설명회’를 개최하고 그간 업계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마련한 ’차세대 모바일 CPU 코어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CPU 코어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중앙연산처리장치인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에 들어가는 핵심 부분품으로 연산 및 제어 명령어 처리 등 두뇌역할을 담당하는 기능 블록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1년부터 기업 및 연구소 등이 CPU 코어를 개발해 왔으나 성능이 미흡하고 상용화가 부진하게 이뤄진데다 사용자 지원도 불충분한 문제로 인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CPU 코어 로열티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를 사용하는 반도체 중소 설계전문회사(팹리스)들의 수익구조가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돼왔다.
업계에서 추정한 모바일 CPU 코어 로열티는 지난 2008년 약 1천800억원에서 2012년 약 3천500억원으로 늘어났고 오는 2020년에는 약 9천억원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영국 ARM 등 소수의 해외업체가 독점해 온 모바일 CPU 코어를 국산화할 경우 국내 시스템반도체 중소기업의 기술자립은 물론, 향후 연간 9억달러 가량의 수입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산업부는 ARM 등 해외 선진업체와의 기술격차를 감안해 국내 중소 반도체 팹리스들의 개발역량에 부합하고 향후 시장 확대 가능성이 큰 중급 CPU 코어 시장을 우선 공략할 방침이다. 중급 CPU 코어 개발에는 향후 5년간 민·관 공동으로 약 350억원(정부 250억원, 민간 1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중급 CPU 코어는 스마트폰, 태블릿,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스마트TV 등에 탑재되는 프리미업급 제품과 달리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사물인터넷(IoT), 로봇청소기 등에 주로 쓰이며 동작 속도는 100 MHz∼1 GHz(32bit)로 코어 개수는 보통 1개 이상이다.
또 막대한 비용을 들여 CPU 코어를 새로 개발하기보다 이미 개발된 국내 CPU 코어 상용화의 경우 우선 상용화하고 이후 이를 보다 고사양인 중상급 수준까지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CPU 코어 원천기술을 수요자에게 원활히 이전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시스템반도체 출시를 촉진할 수 있도록 사용자 지원을 전담할 인프라를 구축을 병행해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ARM, 스마트폰 넘어 IoT로 영토 확장2014.05.13
- ARM 사장 "로열티 적게받는 이유는..."2014.05.13
- CPU 코어 경쟁…이제는 6코어 시대2014.05.13
- 삼성電, 초저전력 1GHz 모바일 CPU 코어 개발2014.05.13
장기적으로는 신규 예산을 확보해 해외 선진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프리미엄급 CPU 코어에 대한 국산화 작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최태현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4배 이상인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시장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독자적이고 경쟁력 있는 모바일 CPU 확보가 시급하다”며 “한국형 CPU 코어 개발을 통해 메모리에 이어 시스템반도체 산업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