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을 구동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텐서플로 라이트'를 공개했다.
데이브 버크 구글 안드로이드 엔지니어링 담당 부사장은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라인 엠피시어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 2017’를 통해 텐서플로 라이트를 소개했다.
텐서플로 라이트는 구글이 지난 2015년 오픈소스로 공개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텐서플로를 모바일 환경에 맞게 최적화한 버전이다. 개발자들은 텐서플로 라이트를 이용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딥러닝 모델을 만들 수 있다. 구글은 텐서플로 라이트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올해 말께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도 공개할 계획이다.
![](https://image.zdnet.co.kr/2017/05/18/lyk_Tv3xCrtPudoVQOa2.jpg)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텐서플로 라이트 발표에 대해 "구글이 안드로이드에서 작동되는 수많은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를 출시고 있는 만큼, 보다 빠르고 가벼운 전용 프레임워크 사용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해석했다.
관련기사
- 구글 "AI 기술 텐서플로, 학습속도 수 십배 향상"2017.05.18
- 구글의 보물 텐서플로우, 딥마인드에도 쓴다2017.05.18
- 구글, 머신러닝 보물 왜 공짜로 풀었나2017.05.18
- 구글, 머신러닝 '텐서플로우' 무료 개방2017.05.18
딥러닝 모델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으면,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이유로 페이스북 역시 지난해 모바일 기기에서 딥러닝 모델을 운영하는 데 최적화된 머신러닝 라이브러리 카페투고(Caffe2GO)를 발표한 바 있다.
데이브 버크 부사장은 "구글은 텐서플로 라이트가 새로운 장치에서 음성 처리, 이미지 검색, 증강 현실 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