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검색전문업체인 케이테크(대표 양재동)가 개방형 교수학습시스템 케이허브-에듀3.0(KHUB-edu3.0)을 출시하고 대학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9일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케이허브-에듀3.0은 대학교육 3.0에 최적화된 그룹형 소셜 기반 온라인 개방형 교수학습시스템이다. 참여, 공유, 개방, 소통의 키워드를 살리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이 시스템은 전세계 분산돼 있는 방대한 온라인 공개수업(MOOC)콘텐츠 중 특정 교과목에 해당하는 콘텐츠만을 키워드별로 자동으로 일괄 수집 분류해 제공한다. 교수는 학생들 수준에 맞는 다른 교수들의 동영상들을 추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신의 동영상 강의를 포함해 강좌를 듣는 학생들만의 전용과목 포털을 설정만 하면 자동으로 만들 수 있다.
케이허브-에듀3.0은 정규 교과 교육 뿐만 아니라 융합 교육, 팀티칭, 현장밀착형 교육, 여러 학교 학생들 간 열린 강좌 등의 교육도 지원한다. 학생 취업그룹, 학생 멘토그룹, 창업 교육그룹, 전문 분야 인력양성 사업그룹 등 그룹별 전문 포털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기사
- 네이버-엔트리교육연구소, SW 교육 생태계 구축2015.12.09
- "非전공자에 SW가르칠 때 ‘다양성' 고려해야"2015.12.09
- 번호이동·요금제 차별 OK...지역·나이로 폰 보조금 차별은 금지2025.04.23
- [현장] "HBM, AI 시대의 우라늄"…국회, 초당적 포럼서 반도체 전략 수립 '본격화'2025.04.23
케이테크는 교육부가 대학평가 지표로 교육3.0을 반영하는 추세에 따라 사이버대학이나 방송통신대 등을 포함한 학교 단위의 교수학습시스템뿐 아니라, 대학 특성화사업, 지역선도사업, ACE(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 직장인 대상 평생교육센터사업 등 플립드 러닝(거꾸로 교실)을 필요로 하는 대학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전북대 교수로 케이허브-에듀3.0을 개발한 양재동 케이테크 대표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교육 3.0 시스템들 뿐 아니라 페이스북이나, 밴드 같은 개인 사용자용 소셜 플랫폼들도 아직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기능들을 탑재했다"고 강조했다.